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마뚱이에요~!

오늘은 출산 전, 출산 후 단계별 모유수유 성공 비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평소에 듣기로 모유가 잘 나오는 가슴은 따로 있다는 말이 있죠?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랍니다!

모유수유는 건강한 여성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기 때문이죠.

모유의 양이 적은 이유는 특별한 경우의 5% 미만을 제외하고,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따로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해요.

오늘은 출산 전과 출산 후에 무엇을 준비하고 계획해야 하는지 간단하게 알아볼게요!

출산 전

  • 산전 모유수유 교육을 받아요.

출산 후 모유수유 방법을 익히겠다고 생각하면 늦을 수 있어요.

첫 모유수유는 절대 만만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죠.

제대로 젖을 물리는 방법, 수유 자세, 모유수유 철칙, 수유 중 생길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책 등을 미리 알아둬야 출산 후 제대로 된 모유수유를 할 수 있어요.

  • 모자동실 산부인과를 선택해요.

하루 24시간 엄마와 아이가 같은 방을 쓰는 모자동실을 선택하는 것이 모유수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해요.

아이가 배고플 때마다 젖을 물려야 하는데 신생아실에 있으면 엄마가 아이의 상태를 알기 힘들어 혼합수유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요.

모유수유 성공의 첫걸음은 아이와 24시간 함께 있으면서 젖을 물리는 것이라고 해요.

출산 후

  • 1시간 이내에 젖을 물려요.

출산 후 30분에서 1시간 이내에 젖을 물리는 것이 좋다고 해요.

아이가 젖을 빨면 젖분비가 서서히 증가하고 자궁이 수축하기 시작하기 때문이에요.

사정상 바로 젖을 물릴 수 없다면 6시간 이내에 젖을 짜기 시작해야 젖이 잘 나와요.

24시간 아이와 함께하며 아이가 배고파할 때마다 젖을 먹이는 것이 가장 좋아요.

  •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유만 먹여요.

초유의 양은 한 번 수유를 할 때마다 2~5cc 정도밖에 나오지 않아요.

하루 꼬박 먹여도 10~40cc죠.

그래서 엄마들은 젖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분유를 먹이기도 해요.

하지만 갓 태어난 아이에게는 충분한 양이고, 분유를 먹여 위의 크기가 늘어나면 아이는 점점 모유의 양에 만족하지 못하게 돼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분유를 먹이지 않는 것이 좋아요.

힘들더라도 출산 후 3~4일간은 아이와 함께 자며 젖을 자주 물려줘야 해요.

  • 하루 10회 이상 먹여요.

하루 8회 이하로 젖을 먹이면 모유의 양이 제대로 늘지 않아 결국 혼합수유를 하게 돼요.

한 번 먹일 때 배부르게 먹이는 것이 중요하므로 양쪽을 번갈아 먹이고 10~15분 이상 충분히 빨게 해 줘야 해요.

신생아는 밤낮의 구분이 없기 때문에 밤에 깨서 아이가 우는 것은 배가 고프다는 신호예요.

밤에 먹이지 않으면 유방에 울혈이 생겨 젖몸살이 오히려 심해지기도 하죠.

밤에도 젖을 물려야 젖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이 나와 양이 늘어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해요.

  • 유방을 비우는 것이 관건이에요.

하루 8~12회, 한 번에 10~15분 정도 젖을 먹이라는 것은 젖을 비우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에요.

젖을 비워야 다시 새로운 젖이 충분히 채워지기 때문이죠.

충분히 젖을 물리지 않아 유방에 젖이 남아 있으면 뇌가 아직 젖을 생성하지 않아도 된다고 인식해요.

젖을 물릴 때에는 이전에 마지막으로 물렸던 유방을 먼저 물려 젖을 충분히 비워내야 젖의 양이 빨리 증가해요.

젖분비가 원활하지 않으면 유방 압이 올라가 젖의 양 유지에 문제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유방에 마사지를 해주면 도움이 돼요.

  • 손으로 젖을 짜는 방법을 익혀요.

출산 2~3일 후 젖이 돌기 시작해 젖몸살이 심해지면 모유수유가 힘들어질 수 있어요.

24시간 이내에 손으로 젖을 짜는 방법을 배워두고 젖이 많이 돌 때 아이에게 물리지 않더라도 젖을 비워내야 해요.

  • 젖 먹이는 자세를 살펴요.

젖을 자주 물려도 아이가 잘 빨지 않아 젖의 양이 늘지 않는다면 젖 먹이는 자세를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아이 머리는 젖을 물리는 팔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하고, 아이 다리는 옆구리에 끼듯 안는 럭비공 안기 자세가 효과적이에요.

아이에게 젖을 물릴 때는 아래쪽 유륜을 위쪽 유륜보다 더 많이 물게 하고 유두는 아래쪽을 향하도록 해서 아이 입에 넣어주는 것이 젖이 잘 나오게 하는 방법이라고 해요.

이때 아이의 머리만 유방 쪽으로 당기지 마시고 아이의 몸 전체를 유방 쪽으로 바짝 당겨 안아야 해요.

젖을 깊이 물리지 않으면 아이의 혀 위에 유두가 놓여 젖이 잘 빨리지도 않고 유두도 아프기 때문이에요.

이럴 땐 아이의 잇몸이 유두가 아닌 유륜을 물 수 있도록 다시 물려야 해요.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