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정보

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때는 어떻게 돌봐야 할까요? 열감기와 기침감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뚜닝 2023. 6. 3. 19:37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아이가 감기에 걸리면 선천 면역력이 약해져서 첫 감기에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감기 현상을 보인다면 약을 먹이기보다는 아이의 현상을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기로 인한 현상은 몸이 병을 이겨내기 위한 자연적인 반응입니다. 기침은 목과 폐에서 생긴 가래를 몸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생리적인 반응이고, 열은 병을 이겨내기 위해 몸이 활성화되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약을 무작정 먹이는 것은 아이의 면역력에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약을 먹여야 할 때와 응급 상황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아이가 열감기에 걸렸다면 체온조절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쉽게 열이 납니다. 열이 나는 것은 병이 나았다는 표시이기 때문에 바로 해열제를 먹이기보다는 아이의 상태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열은 면역력을 높여서 병을 빨리 이겨낼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열감기는 2~3일 동안 열이 지속되지만, 3일 이상 계속 고열이 지속된다면 합병증이나 다른 열성 질환일 수 있으므로 전문의에게 가는 것이 좋습니다. 체온을 잴 때는 체온계를 사용해서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아이가 고열이 있다면 해열제를 먹여서 열을 낮추거나 전문의에게 가는 것이 좋습니다. 3개월 이전 아이가 겨드랑이 체온으로 37.2℃ 이상 열이 나거나 3~6개월 아이가 38℃ 이상 열이 나고, 6개월 이상 아이가 39℃ 이상 열이 나면 고열이라고 합니다. 열이 심하면 경련을 일으킬 수도 있으니 특히 생후 3개월 미만 아이들은 현상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으므로 빠르게 전문의에게 가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탈수 현상을 보인다면 반드시 전문의에게 가야 합니다. 기저귀를 갈 때 횟수가 갑자기 줄었다면 탈수가 심한 현상입니다. 아이의 체수분량이 부족하면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열성 경련을 한 적이 있는 경우에도 전문의에게 가는 것이 좋습니다. 열성 경련을 경험한 아이는 같은 상황을 다시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의료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상황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아침까지 기다려도 괜찮습니다.

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때 집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돌봐줄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에게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혀주세요. 열이 오를 때는 통풍과 땀 흡수가 잘 되는 옷을 입히는 것이 좋습니다. 옷을 꽉 조이면 몸이 열을 제대로 발산하지 못해서 체온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공기가 잘 통하면 몸이 시원해지고 열이 잘 내려가기 때문에 열이 오르기 시작할 때는 편안한 옷으로 갈아입히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열이 나면 호흡이 빨라지고 수분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 주어야 합니다. 열이 오를 때는 물을 조금씩 자주 마시게 해야 합니다. 계속 물을 마시면서 자주 소변을 보면 열이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됩니다.

열이 많이 오를 때는 옷을 벗은 뒤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수건으로 몸을 닦으면 피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열을 내려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목욕이나 물수건을 덮어두면 감기 현상이 악화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계속 미지근한 수건으로 몸을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감기로 인한 기침은 나쁜 세균을 몸 밖으로 토해내기 위한 방어작용입니다. 기침은 자연스러운 방어본능이기 때문에 억지로 참지 않고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기침은 병이 아니라 감기의 현상이기 때문에 감기에 걸려 기침을 한다면 감기 자체를 치료하는 것이 맞습니다. 아이가 자주 기침을 한다면 전문의에게 상의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집에서 기침감기를 돌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건조한 공기는 기침을 더 심하게 만들 수 있으니 따뜻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면서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젖은 빨래를 걸어 습도를 유지해 주세요.

또한, 기침으로 인해 가래가 붙어있을 때는 수분을 충분히 보충해야 합니다. 평소보다 더 많이 수분을 섭취해 성대를 부드럽게 하고 가래를 묽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차가운 음식은 기침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따뜻한 보리차 등을 조금씩 자주 마시게 해주세요.

만약 아이가 후두염으로 인해 기침이 심해진다면 찬 공기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찬바람을 받거나 찬 수증기가 나오는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출처: 1세 아이 잘 키우는 육아의 기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