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감기에 걸렸다면? 어떻게 돌봐야 할까요? (코감기, 목감기)
안녕하세요, 마뚱이에요.
오늘은 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때 어떻게 돌봐야 하는지 알려드릴게요. 이번 시간에는 코감기와 목감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때는 선천 면역력이 약해져서 첫 감기에 걸리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감기 현상을 보인다면 약을 먹이기보다는 아이의 현상을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해요.
코감기는 코의 점막에 염증이 생기면서 시작돼요. 콧물이 나오게 되는데, 콧물이 투명하고 물기가 많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돼요. 하지만 콧물이 점점 짙어지고 누렇게 변하며 녹색을 띠게 된다면 전문의에게 가보는 것이 좋아요. 코감기는 콧물뿐만 아니라 재채기, 구토, 설사 등의 현상을 동반하기도 해요.
아이가 코감기에 걸렸을 때는 흐르는 콧물을 닦아주는 것이 중요해요. 콧물을 그대로 두면 코딱지나 코막힘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코가 막히면 숨쉬기가 어려워 아이가 힘들어하므로 콧물이 흐를 때마다 닦아주세요. 또한, 콧물을 한 쪽씩 풀어주는 것이 좋아요. 코가 막히면 입으로 숨을 쉬기 때문에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폐로 직접 들어가는 것은 좋지 않아요. 콧물을 한 쪽 코를 막고 번갈아가면서 풀어주세요.
생리식염수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콧물 흡입기를 사용하면 콧속 점막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대신 생리식염수를 이용해 딱딱해진 콧물을 녹여서 제거해 줄 수 있어요.
목감기는 겨울철에 날씨가 건조하고 일교차가 심해 발생하기 쉬워요. 목감기에 걸리면 목소리가 쉬고 목이 건조하며 심하면 물도 삼키기 어려울 정도로 고통을 느끼게 될 수 있어요. 콧물, 코막힘, 기침 등의 현상도 동반될 수 있으며 열과 두통을 동반하기도 해요. 목감기에 걸린 아이의 목을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아이가 목감기에 걸렸을 때는 목까지 올라오는 옷을 입혀서 보온에 신경을 써주세요. 머플러나 수건으로 목을 따뜻하게 감싸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가습기를 사용해 실내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해요. 기관지는 온도와 습도에 예민하게 반응하죠. 가습기를 이용해서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해 주세요.
가습기는 자주 청소해 주세요. 가습기 상태가 좋지 않다면 오히려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아요. 또한, 따뜻한 물을 아이에게 먹이는 것도 좋아요. 한 번에 많이 먹이지 말고 조금씩 나눠서 먹여주세요. 만약 아이가 물을 삼키기 힘들어한다면 거즈 수건에 따뜻한 물을 묻혀 입안을 적셔줄 수 있어요. 이렇게 하면 목이 건조해지는 것을 도와줄 수 있어요.
이상으로 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때 코감기와 목감기를 돌봐야 할 때에 대해 알려드렸어요. 아이의 건강을 위해 잘 케어해주세요. 감기가 길게 지속되거나 증상이 심해진다면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이 좋아요.